교육계를 사랑하며 프리랜서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직접 리서치한 교육, 취업 정보를 공유합니다.
주 40시간은 가장 다수의 근로자들이 선택하는 근로시간입니다. 근로자들이 선택했다기보다는 많은 회사에서 법정 근로시간 1주 40시간(1일 8시간)으로 구인구직을 하고 게약을 진행합니다. 다만, 프리랜서나 계약직, 경력단절 여성 등 최근에 다양한 근로 형태가 생견나면서 주 40시간 미만의 근로자들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저 역시 하루 8시간 미만의 근로시간으로 계약을 진행했는데요. 가장 궁금한 것이 연차였습니다. 오늘은 근로시간과 연차휴가에 대해 알아도보록 하겠습니다. \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요약]
- 단시간 근로자란
- 단시간 근로자 유급휴가
- 단시간 근로자 유급 휴가 계산법
- 단시간 근로자 유급휴가 수당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 [상세]
근무시간이 40시간 미만이라면 먼저 단시간 근로자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단시간 근로자란 1주 동안의 근로시간이 통상근로자에 비해 적은 근로자입니다. 40시간이라는 기준은 없으나 대부분의 기업들이 40시간을 통상근로시간으로 설정하고 근무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회사라면 40시간 미만 근로자는 단시간 근로자가 됩니다.
결론만 말하면 단시간 근로자도 연차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시행령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입니다.
다만, 제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통상 근무 근로자보다 근무 시간이 적은 경우 단시간 근로자
- 단시간 근로자도 근로기준법 시행상, 연차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음
- 다만 5인 미만 사업장에서 근무하거나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일 경우 연차휴가가 없음.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유급휴가 계산법
우선 연차유급휴가는 시간단위로 게산하면됩니다. 1시간 미만은 1시간으로 간주합니다. 그리고 연차유급휴가는 1일단위로 소정근로일에 부여합니다. 쉽게 말하면 평소 일하는 시간만큼 1일의 연차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하루 4시간씩 1개월을 일했으면 똑같이 1일 휴가가 생기고, 1일 생기는 휴가는 4시간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연차를 수당으로 받을 경우도 4시간의 근무 수당을 받게되겠죠?
근로기준법에서는 소정근로이레, 소정근로시간이라고 합니다. 소정근로시간은 즉, 자신이 평소 일하는 1일 평균 근무시간이라고 보시면됩니다.
-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유급휴가는 시간단위로 계산함.
- 소정근로일에 소정근로시간의 연차를 받음
- 소정근로시간이란, 해당 근무자의 1일 평균 근무시간을 말함.
이때 근무시간은 근로계약서에 계약기간, 근로일, 근로시간이 명시되어 있어야 하며 초과근무에 대해서도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일 근무시간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는 평균 근무시간을 내어 소정근로시간을 계산하면됩니다.
이전에는 계약서 작성 시 월급, 일급, 연봉부터 보았다면 요즘엔 연차, 근무탄력성 등 연차부터 보는 것이 근로자들의 특징입니다. 커리어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워라벨이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의무 만큼이나 권리도 찾는 근로자가 우리모두 됩시다!
모든 직장인들에게 심심한 위로를 전하면서::)
'EDU_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쓰는 MS 오피스 365 가격 정리 ( + 할인방법 추가) (0) | 2022.09.18 |
---|---|
사회복지사보수교육센터 A to Z (신청방법, 대상자, 수업료) (0) | 2022.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