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MU_리서치/재미

MBTI NS 차이 한번에 정리 (성격, 행동, 가치관)

by 미니리서치 2022. 7. 11.
반응형

MBTI J가 정리해본 MBTI SN 차이


MBTI SN 차이는?

- 나는 직관형? 감각형형?
-  SN 차이는 구체적으로 어떨까? 

 이전에 MBTI PJ의 차이를 정리해보았는데요(개인적으로 MBTI 유형 중 PJ는 가장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해요. 제가 여러 MBTI유형을 만나본결과) 내용이 궁금하거나 혹은 아직 MBTI를 검사하지 않으셨다면 제 블로그에서 MBTI를 검색해주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S유형과 N 유형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직관이라는 말이 조금 어려워서 저는 처음에 이해하기 힘들었는데요. 내용을 꼼꼼히 읽어보니 아 내가 이유형이구나! 하고 알게 되었어요.

저는 INFJ로 N 직관형입니다! 직관형 여러분들 반가워요~그럼  N과 S가 어떤 유형인지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각형 S와 직관형 N​

감각형 S(Sensing)

감각형은 경험형이라고도 할 수 있어요. 경험을 매우 중시하며 현재에 초점을 맞춥니다. 즉 지금까지 일어난 데이타나 경험을 토대로 판단해요. 감각형은 일처리가 철저하고 체계적이며 정확합니다. 

직관형 N (iNtuition)

직관형은 감각형과 반대에요. 아 감이야! 하는 느낌? 육감이나 영감에 의존합니다. 아이디어를 좋아해요. 미래 지향적이고 가능성과 의미를 추구합니다. 일을 처리할 땐 신속해요. 회의할 때 이 아이디어 저 아이디어를 번쩍번쩎 내는 분들이 직관형일 수 있어요. 


S감각형과 N 직관형의 차이

그럼 감각형과 직관형을 비교해보면 어떨까요? 핵심은 감각형은 실제 경험 / 직관형은 미래지향적이라는 점입니다. 둘 다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팀으로 구성되어있다면 적절하게 반반섞이는게 좋을 것 같아요.  

S 감각형
N 직관형
지금이 중요해요. '현재'에 집중합니다. 
'미래'가 중요해요. 미래지향적입니다. 
실제 경험이 중요합니다. 
- 지금까지 진행해 왔던 데이터, 경험했던 내용
과거의 정보를 토대로 분석하고 현실에 적용시켜요. 
아이디어와 영감, 기회가 중요합니다. 
- 떠오르는 영감에 의존하고
여러가지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요. 
한마디로 '현실주의적!
어떤 사건이 일어났을 때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현실주의적인 성향을 보여요. 
상상력이 뛰어나요.
어떤 상황이나 사건을 설명할 때 비유를 잘해요. 
많은 N 직관형이 상상을 즐기고 있어요. 
업무나 계획을 짤 때
정확하고 철저하게 수립합니다. 
빠르고 신속하게 일처리를 합니다. 
어떤 상황에 앞서 나무를 꼼꼼히 보는 타입이에요. 
나무보다는 숲을 먼저보고 직관적으로 아이디어를 내고 미래를 그려보아요.
단점이라고 하면, 창의적인 면인데요
평소 일처리는 사실적이고 세밀하며 정활할 수 있지만 다소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는데 보수적일 수 있어요. 
반면 직관형은 창의적인 것이 장점이지만 하나하나 일처리를 할 때 꼼꼼함은 부족할 수 있어요.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답을 항상 제안합니다.
사실에 기반하기 때문에 객관적이고 정확해요. 
조금 비현실적일 수 있지만
항상 아이디어가 많고 다소 엉뚱한 면이 있어요. 
깔끔하고 예의바른 유형이 많습니다. 
개성있는 스타일이 많아요. 

예전에 '놀면뭐하니'에서 MBTI유형 검사를 한적이 있는데요. 린다G(추억의 이름) 이효리가 N 직관형이고 유재석이 S 감각형이에요. 뭔가 딱 와닿지 않나요? 

 

PJ 유형 차이를 보았을 때는 둘이 여행을가거나 놀 때 힘들겠다 생각했는데 NS는 직장 선후배로 만나면 조금 힘들 수  있을 것같아요. 일을 보는 방식이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우선순위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다만, 서로 적정하게 잘 화합한다면 현재 일은 충실하게 진행하면서 조직의 비전을 찾는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거에요!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싸우는 경우가.. ) 

여러분은 어떤 유형인가용?

모든 유형이 100%가 아니듯 저도 N S가 섞여있는데요. 저는 기질적으로는 N유형에 가깝지만 회사를 다니면서 수치를 보는 업무를 하다보니 S형으로 업무를 많이 처리했습니다.

MBTI 유형은 공부하면 할수록, 본인의 장점을 파악하고 단점을 개선하기 좋은 것같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