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OM_리서치/육아

돌아기맘이 정리한 이앓이 정리본 (기간, 증상, 극복법 정리)

by 미니리서치 2022. 6. 22.
반응형

한 4개월쯤 넘어가면
아기가 갑자기 자다가 깨서 울때
아기가 이유없이 보챌 때
아기가 조금 길게 울 때 
엄마 아빠들이 꼭 하는 말

이앓이. 

사실 이가 뚫고나온 기억이 성인은
없기 때문에 진짜 이앓이가 있나~
하는 의심스러운 마음이었지만
현재 6개의 이가 나기까지  결론은
이앓이 = 있긴 있다 

모쪼록 이앓이를 겪으면서 
찾아서 정리해본
의학 전문가들의 의견들에 대한 기록
(출처: 언론/ 의학포털)

이앓이란?

​말그대로 이가 나면서 생기는 통증

​사실 아기의 치아는

엄마 뱃속에 태아였을 때부터 나기 시작한다고 한다 
출생시에는 잇몸안에 있지만
빠르면 4개월 때부터 이가 뚫고 올라옴 

처음나는 이를 '유치' (반대: 영구치)

 

유치가 날 때 있는 통증을이앓이라고 함

**실제 이앓이를 겪는 것을보니

1. 구멍이 뚫리고 

2. 잇몸이 조금 붓기 시작하고

3. 하얀색이 좀 보이기 시작하는데

4. 완전히 이가 나오고 나면 좀 덜아파함
(1,2,3과정에서 아파함)

 


 

이앓이 시기

7개월 전후로 시작

평균적으로는 7개월 전후
다만, 빠를경우 4개월부터
그 후로나는 속도, 개수의 경우 모두 다름

(울애기의 경우 4개월에 첫니가 뿅
빠르게 났다고 생각했지만
그 이후 나는 속도는 느려서
친구들보다 늦게 나는 중이다 (돌기준)

이 나는 순서는?

만약 7월에 첫니라치면
7~8개월경 앞니 2
8~9개월경 위 앞니 2
10월경 위, 12월경 아래 이가 두개씩 더
14~16개월엔 어금니
16~20개월에는 송곳니
20~30개월 경에는 마지막 어금니
위아래에 두개씩 

잇몸과 이앓이에 대해서 
조금 궁금한 사항이 생기거나
유독 열이 심하게 난다거나, 
이상이 있다면 근처 소아과 내원하여
구강검진을 반드시 받아야 함!



 

이앓이 증상은?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잇몸이 간지럽고 부움
침을 많이 흘림
수유량이 적어지거나(이유식거부)
미열/출혈이 나기도 함
자다가 자주 깨서 움

** 미열의 경우
해열제를 복용하거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바로 병원 내원 필요.

반응형

 

이앓이 극복법
(엄마 아빠가 도와주는 방법)

아이를 이해하고 많이 안아주기

(차가운) 치발기 주기 
- 아이마다 원하는 치발기가 있는데

딱딱한 치발기를 좋아한다면 그런 소재

말랑말랑한 치발기/헝겊류를좋아한다면

부드러운 소재의 물 수 있는 것을 주면

조금 도움이 될 수 있다

 

오사닛 캔디의 경우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진 않지만

자다 깨서 오열할 때주면

어느정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음

(오사닛 캔디의 원리는 조금 시원하게~

해주는 것이라함(ex. 자일리톨처럼))

구강 마사지

​헝겊이나, 아기칫솔 등으로 마사지
거즈손수건이나 구강티슈를
차갑게 하여 줘도 됨 
잇몸을 꾹꾹 눌러서 자극

씹을 수 있는 간식

어기가 좋아하는 과자/마사지 효과.


 

이앓이 시기,
엄마아빠는?

유치관리 필요 

이가 난 이후로부터는
구강티슈로 닦아주거나
치아 관리를 해줘야함(아기칫솔)

안정시키고 안아주기

불안하고 당황스럽고

때떄로 아프기 까지한 울애기

(아기들의 이앓이 통증은 애바애)

아이를 많이 안아주고 안정시켜주기

 

 

+ 덧, 

첫 니 두개가 났을 때, 윗니 두개가 낫을 때

찍은 사진들은 정말 이가 두개만 딱 보여서

너무너무~ 귀엽다

사진을 많이 남겨두기!

 

 
반응형

댓글